※ "식품"이란 모든 음식물(의약으로 섭취하는 것 제외)을 말합니다(「식품위생법」 제2조제1호).
※ "식품첨가물"이란 식품을 제조·가공·조리 또는 보존하는 과정에서 감미(甘味), 착색(着色), 표백(漂白) 또는 산화방지 등을 목적으로 식품에 사용되는 물질을 말합니다. 이 경우 기구(器具)·용기·포장을 살균·소독하는 데에 사용되어 간접적으로 식품으로 옮아갈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합니다(「식품위생법」 제2조제2호).
※ "기구"란 다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으로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에 직접 닿는 기계·기구나 그 밖의 물건(농업과 수산업에서 식품을 채취하는 데에 쓰는 기계·기구나 그 밖의 물건 및 「위생용품 관리법」 제2조제1호에 따른 위생용품은 제외)을 말합니다(「식품위생법」 제2조제4호).
√ 음식을 먹을 때 사용하거나 담는 것
√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채취·제조·가공·조리·저장·소분[(小分): 완제품을 나누어 유통을 목적으로 재포장하는 것]·운반·진열할 때 사용하는 것
※ "용기·포장"이란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넣거나 싸는 것으로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주고받을 때 함께 건네는 물품을 말합니다(「식품위생법」 제2조제5호).
※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가공을 포함함)한 식품을 말합니다. 여기서 기능성이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말합니다(「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3조제1호 및 제2호)
위해란 식품, 식품첨가물, 기구 또는 용기·포장(이하 “식품등”이라 함)에 존재하는 위험요소로서 인체의 건강을 해치거나 해칠 우려가 있는 것을 말합니다(「식품위생법」 제2조제6호).
위해식품등은 다음과 같은 것을 말하며, 판매하거나 판매할 목적으로 수입해서는 안 됩니다(「식품위생법」 제4조).
썩거나 상하거나 설익어서 인체의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는 것
유독·유해물질이 들어 있거나 묻어 있는 것 또는 그러할 염려가 있는 것
√ 다만,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인체의 건강을 해칠 우려가 없다고 인정해 수입할 수 있는 식품은 다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해야 합니다(「식품위생법 시행규칙」 제3조).
가.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고시하는 식품등의 제조·가공 등에 관한 기준 및 성분에 관한 규격(이하 "식품등의 기준 및 규격"이라 함)에 적합한 것
나. 식품등의 기준 및 규격이 정해지지 않은 것은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식품위생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유해의 정도가 인체의 건강을 해칠 우려가 없다고 인정한 것
병(病)을 일으키는 미생물에 오염되었거나 그러할 염려가 있어 인체의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는 것
불결하거나 다른 물질이 섞이거나 첨가(添加)된 것 또는 그 밖의 사유로 인체의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는 것
유전자변형식품 등의 안전성 심사 대상인 농·축·수산물 등 가운데 안전성 심사를 받지 않았거나 안전성 심사에서 식용(食用)으로 부적합하다고 인정된 것
※ "유전자변형식품 등"이란 유전자변형된 농축수산물을 재배·육성·생산한 것(이하 "유전자변형농축수산물"이라 함)과 유전자변형농축수산물을 원재료로 하거나 또는 이용하여 제조·가공된 식품(건강기능식품 포함) 또는 식품첨가물을 말합니다[「유전자변형식품등의 안전성 심사 등에 관한 규정」(식품의약품안전처고시 제2021-67호, 2021. 8. 6. 발령·시행)].
수입금지 지역에서 생산 또는 발송되었거나 그 지역을 거친 지정검역물(항공기 또는 선박의 단순기항에 따라 수입금지 지역을 거친 경우는 제외함)
※ 지정검역물
√ 지정검역물이란 수출입 검역대상이 되는 수산생물 또는 물건으로서, 다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 중 ① 이식용 수산생물, ② 식용, 관상용, 시험·연구조사용 수산동물 중 어류·패류·갑각류·양서류, ③ 수산생물제품 중 열처리 및 절단 등의 가공을 하지 않고 냉동·냉장한 전복류, 굴 및 새우류, ④ 「수산생물질병 관리법」 제24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단서에 따라 시험·연구조사 또는 수산생물질병의 진료와 예방을 위한 의약품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하여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장의 허가를 받아 수입하는 수산생물 또는 물건[수산생물전염병의 병원체를 포함한 진단액류(診斷液類)가 들어있는 물건을 포함함]을 말합니다(「수산생물질병 관리법」 제23조 및 「수산생물질병 관리법 시행규칙」 제25조).
4. 위 1. 및 2.의 수산생물 또는 3.의 수산생물제품을 운반하거나 보관하는 과정에서 수산생물전염병의 병원체를 확산시킬 우려가 있는 물건으로서 사료·기구·물, 그 밖에 이에 준하는 것
√ 지정검역물을 수입하려는 자는 수산생물검역기관의 장에게 검역을 신청하고 수산생물검역관의 검역을 받아야 합니다. 다만, 여행자 휴대품으로 지정검역물을 수입하는 자는 입국하는 즉시 해당 공항·항만 등을 관할하는 수산생물검역기관의 장에게 신고하고 수입검역을 받아야 합니다(「수산생물질병 관리법」 제27조제1항).
수산생물전염병의 병원체에 감염된 수산생물
「수산자원관리법」 제35조제1항제5호에 따라 이식이 제한·금지된 수산생물과 이식승인의 대상임에도 이식승인을 받지 않은 수산생물
다만, 시험·연구조사 또는 수산생물 질병의 진료와 예방을 위한 의약품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해 해양수산부장관의 허가를 받은 수산생물 또는 물건은 수입할 수 있습니다(「수산생물질병 관리법」 제24조제1항 단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