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검색박스
검색 입력란
검색
메뉴 열기
책자형
카드형
Q&A형
웹툰
솔로몬의 재판
공지사항
메뉴 닫기
책자형
카드형
Q&A형
웹툰
솔로몬의 재판
SNS공유
페이스북
카카오톡
트위터
반려동물과 생활하기 > 반려동물 장례 치르기 > 반려동물이 죽었을 때 해야 할 일 > 반려동물 사체처리 방법과 말소신고
반려동물의 정의
열기
매장
열기
화장
열기
장례 및 납골
열기
동물등록된 반려동물 말소신고
열기
반려동물 입양 또는 분양방법
열기
매장
열기
화장
열기
장례 및 납골
열기
동물등록된 반려동물 말소신고
열기
반려동물 분양받은 후 발생한 피해배상
열기
매장
열기
화장
열기
장례 및 납골
열기
동물등록된 반려동물 말소신고
열기
반려동물등록제도의 개념 및 대상
열기
매장
열기
화장
열기
장례 및 납골
열기
동물등록된 반려동물 말소신고
열기
반려동물등록 방법
열기
매장
열기
화장
열기
장례 및 납골
열기
동물등록된 반려동물 말소신고
열기
반려동물등록 변경신고 및 재발급
열기
매장
열기
화장
열기
장례 및 납골
열기
동물등록된 반려동물 말소신고
열기
반려동물의 사육·관리에 관한 기본사항
열기
매장
열기
화장
열기
장례 및 납골
열기
동물등록된 반려동물 말소신고
열기
반려동물 관리 책임
열기
매장
열기
화장
열기
장례 및 납골
열기
동물등록된 반려동물 말소신고
열기
사료표시제도
열기
매장
열기
화장
열기
장례 및 납골
열기
동물등록된 반려동물 말소신고
열기
반려동물 예방접종 및 구충
열기
매장
열기
화장
열기
장례 및 납골
열기
동물등록된 반려동물 말소신고
열기
동물병원 이용시 참고사항
열기
매장
열기
화장
열기
장례 및 납골
열기
동물등록된 반려동물 말소신고
열기
동물용 의약품 등의 사용에 따른 피해배상
열기
매장
열기
화장
열기
장례 및 납골
열기
동물등록된 반려동물 말소신고
열기
반려동물 미용실 이용시 참고사항
열기
매장
열기
화장
열기
장례 및 납골
열기
동물등록된 반려동물 말소신고
열기
반려동물과 외출하기
열기
매장
열기
화장
열기
장례 및 납골
열기
동물등록된 반려동물 말소신고
열기
반려동물과 공원이용하기
열기
매장
열기
화장
열기
장례 및 납골
열기
동물등록된 반려동물 말소신고
열기
반려동물과 대중교통 이용하기
열기
매장
열기
화장
열기
장례 및 납골
열기
동물등록된 반려동물 말소신고
열기
반려동물과 해외가기
열기
매장
열기
화장
열기
장례 및 납골
열기
동물등록된 반려동물 말소신고
열기
반려동물 두고 여행하기
열기
매장
열기
화장
열기
장례 및 납골
열기
동물등록된 반려동물 말소신고
열기
잃어버린 반려동물 찾기
열기
매장
열기
화장
열기
장례 및 납골
열기
동물등록된 반려동물 말소신고
열기
반려동물 주인 찾기
열기
매장
열기
화장
열기
장례 및 납골
열기
동물등록된 반려동물 말소신고
열기
반려동물 유기(遺棄) 금지
열기
매장
열기
화장
열기
장례 및 납골
열기
동물등록된 반려동물 말소신고
열기
유기된 반려동물 보호 등
열기
매장
열기
화장
열기
장례 및 납골
열기
동물등록된 반려동물 말소신고
열기
반려동물에 금지되는 학대행위
열기
매장
열기
화장
열기
장례 및 납골
열기
동물등록된 반려동물 말소신고
열기
학대행위자 처벌 등
열기
매장
열기
화장
열기
장례 및 납골
열기
동물등록된 반려동물 말소신고
열기
동물보호감시원
열기
매장
열기
화장
열기
장례 및 납골
열기
동물등록된 반려동물 말소신고
열기
동물보호명예감시원
열기
매장
열기
화장
열기
장례 및 납골
열기
동물등록된 반려동물 말소신고
열기
반려동물 사체처리 방법과 말소신고
열기
매장
열기
인쇄체크
매장
동물병원에서 죽은 경우
반려동물이 동물병원에서 죽은 경우에는 의료폐기물로 분류되어 동물병원에서 자체적으로 처리되거나 폐기물처리업자 또는 폐기물처리시설 설치·운영자 등에게 위탁해서 처리됩니다(
「폐기물관리법」 제2조
제4호·제5호,
제18조
제1항,
「폐기물관리법 시행령」 별표 1
제10호 및
별표 2
제2호가목,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3
제6호).
반려동물의 소유자가 원할 경우 병원으로부터 반려동물의 사체를 인도받아
「동물보호법」 제33조
제1항에 따른 동물장묘업의 등록한 자가 설치·운영하는 동물장묘시설에서 처리할 수 있습니다(
「동물보호법」 제22조
제3항 참조).
동물병원 외의 장소에서 죽은 경우
반려동물이 동물병원 외의 장소에서 죽은 경우에는 생활폐기물로 분류되어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조례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생활쓰레기봉투 등에 넣어 배출하면 생활폐기물 처리업자가 처리하게 됩니다(
「폐기물관리법」 제2조
제1호·제2호,
제14조
제1항·제2항·제5항,
「폐기물관리법 시행령」 제7조
제2항,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
및
별표 5
제1호).
화장
열기
인쇄체크
화장
동물병원에서 죽은 경우
반려동물이 동물병원에서 죽은 경우에는 동물병원에서 처리될 수 있는데, 소유자가 원하면 반려동물의 사체를 인도받아 동물장묘업의 등록을 한 자가 설치·운영하는 동물장묘시설에서 화장할 수 있습니다(
「폐기물관리법」 제18조
제1항,
「폐기물관리법 시행령」 제7조
제2항,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
및
별표 5
제5호가목).
동물병원 외의 장소에서 죽은 경우
반려동물이 동물병원 외의 장소에서 죽은 경우에는 소유자는동물장묘업의 등록을 한 자가 설치·운영하는 동물장묘시설에 위탁해 화장할 수 있습니다(
「동물보호법 시행규칙」 제36조
제1호나목).
장례 및 납골
열기
인쇄체크
장례 및 납골
장례 및 납골
반려동물의 장례와 납골도 동물장묘업의 등록을 한 자가 설치·운영하는 동물장묘시설에 위임할 수 있습니다(
「동물보호법 시행규칙」 제36조
제1호).
※ ‘동물장묘업자’
란 동물전용의 장례식장·화장장 또는 납골시설을 설치·운영하는 자를 말하며, 필요한 시설과 인력을 갖추어서 시장·군수·구청장(자치구의 구청장을 말함)에 동물장묘업 등록을 해야 합니다(
「동물보호법」 제32조
제1항제1호,
제33조
제1항
「동물보호법 시행규칙」 제35조
,
별표 9
).
※ 동물장묘업 등록 여부 확인해야 합니다.
동물장묘업은 필요한 시설과 인력을 갖추어서 시장·군수·구청장에 동물장묘업 등록을 해야 하므로 반드시 시·군·구에 등록된 업체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동물보호법」 제32조
제1항제1호,
제33조
제1항
「동물보호법 시행규칙」 제35조
,
별표 9
).
동물장묘업자에게는 일정한 준수의무가 부과(
「동물보호법」 제36조
,
「동물보호법 시행규칙」 제43조
및
별표 10
)되기 때문에 동물장묘업 등록이 된 곳에서 반려동물의 장례·화장·납골을 한 경우에만 나중에 분쟁이 발생했을 때 훨씬 대처하기 쉬울 수 있습니다.
동물장묘업 등록 여부는 영업장 내에 게시된 동물장묘업 등록증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동물보호법 시행규칙」 제37조
제4항,
제43조
,
별표 10
제1호가목,
별지 제16호서식
).
또한, 동물장묘업자마다 장례, 화장, 납골이 구분되어 있으니 시설 보유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이를 위반해서 동물장묘업가 동물장묘업 등록을 하지 않고 영업하면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집니다(
「동물보호법」 제46조
제3항제2호).
※ 전국의
동물장묘업 현황(클릭)
동물등록된 반려동물 말소신고
열기
인쇄체크
동물등록된 반려동물 말소신고
반려동물 말소신고
동물등록이 되어 있는 반려동물이 죽은 경우에는 다음의 서류를 갖추어서 반려동물이 죽은 날부터 30일 이내에 동물등록 말소신고를 해야 합니다(
「동물보호법」 제12조
제2항제2호,
「동물보호법 시행규칙」 제9조
제1항제4호 및 제2항).
1. 동물등록 변경신고서(
「동물보호법 시행규칙」 별지 제1호서식
)
2. 동물등록증
3. 등록동물의 폐사 증명 서류
이를 위반하여 정해진 기간 내에 신고를 하지 않은 소유자는 5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받습니다(
「동물보호법」 제47조
제3항제1호,
「동물보호법 시행령」 제20조
제1항 및 별표 제2호바목).
반려동물 사체처리 금지행위
열기
매장
열기
화장
열기
장례 및 납골
열기
동물등록된 반려동물 말소신고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