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검색박스
검색 입력란
검색
메뉴 열기
책자형
카드뉴스형
백문백답
웹툰
솔로몬의 재판
공지사항
생활법령정보란?
이용안내
이슈Q&A
생활법령 이용후기
홈페이지 개선의견
메뉴 닫기
책자형
카드뉴스형
백문백답
웹툰
솔로몬의 재판
SNS공유
페이스북
카카오톡
트위터
이혼 > 자녀문제 > 친권ㆍ양육권 > 이혼 시 자녀에 대한 친권
협의이혼과 재판상 이혼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사실혼의 해소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사실상 이혼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이혼 전 준비사항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이혼 시 재산문제 및 자녀문제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이혼소송을 당한 경우의 대응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이혼에 따른 손해배상 및 재산분할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이혼에 따른 신분관계의 변화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이혼의 무효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이혼의 취소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사실혼의 해소와 재산ㆍ자녀문제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사실혼 파기에 대한 위자료 청구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사실혼 부부간 재산분할 청구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사실혼 부부간 양육비 청구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협의이혼의 요건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협의이혼과 자녀문제 합의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협의이혼과 재산문제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협의이혼의 절차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협의이혼 의사의 철회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외국에서의 협의이혼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재판상 이혼의 개념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재판상 이혼 사유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유책배우자의 이혼청구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재판상 이혼의 절차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공시송달에 의한 이혼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외국에서의 이혼소송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이혼 상대방의 재산처분 방지 조치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위자료(위자료청구권)의 개념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혼인파탄에 책임있는 제3자에 대한 위자료 청구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위자료청구권의 행사기간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위자료 지급의 강제방법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위자료 지급에 대한 과세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재산분할청구권의 개념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재산분할의 대상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유책배우자의 재산분할청구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재산분할청구권의 행사기간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재산분할에 대한 과세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재산명시 및 재산조회제도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이혼 시 자녀에 대한 친권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인쇄체크
친권의 의의
친권 및 친권의 행사
친권이란 부모가 미성년인 자녀에 대해 가지는 신분·재산상 권리와 의무를 말합니다. 부모는 미성년자인 자녀의 친권자가 되고, 양자(養子)의 경우에는 양부모가 친권자가 됩니다(
「민법」 제909조
제1항).
친권은 부모가 혼인 중인 때에는 부모가 공동으로 행사하고, 이혼하는 경우에는 친권자를 지정해야 합니다(
「민법」 제909조
제2항부터 제5항까지).
친권자의 권리·의무
친권을 행사하는 부(父) 또는 모(母)는 미성년자인 자녀의 법정대리인이 되고(
「민법」 제911조
) 친권을 행사하는데,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자녀를 보호·교양할 권리의무(
「민법」 제913조
)
2. 자녀가 거주하는 장소를 지정할 수 있는 거소지정권(
「민법」 제914조
)
3. 자녀가 자기명의로 취득한 특유재산에 관한 관리권(
「민법」 제916조
)
※ 다만, 무상(無償)으로 자녀에게 재산을 수여한 제3자가 친권자의 관리에 반대하는 의사를 표시한 경우에는 친권자는 그 재산을 관리하지 못합니다. 이 경우 제3자가 그 재산관리인을 지정하지 않으면 법원은 재산의 수여를 받은 사람 또는 친족(8촌 이내의 혈족, 4촌 이내의 인척 및 배우자)의 청구에 따라 관리인을 선임합니다(
「민법」 제777조
및
제918조
).
4. 자녀의 재산에 관한 법률행위의 대리권(
「민법」 제920조
)
친권과 양육권
양육권은 미성년인 자녀를 부모의 보호 하에서 양육하고 교양할 권리를 의미하지만, 친권은 자녀의 신분과 재산에 관한 사항을 결정할 수 있는 권리이므로 양육권보다는 친권이 좀 더 포괄적인 개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혼하는 경우에는 친권자와 양육자를 부모 중 일방 또는 쌍방으로 지정할 수 있고, 친권자와 양육자를 각각 달리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친권자와 양육자가 달리 지정된 경우에는 친권의 효력은 양육권을 제외한 부분에만 미치게 됩니다.
친권자의 지정
열기
인쇄체크
친권자의 지정
협의이혼하는 경우
협의이혼을 하는 경우 부부가 합의해서 친권자를 지정해야 하고, 합의할 수 없거나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가정법원이 직권으로 또는 당사자의 청구에 따라 친권자를 지정합니다[
「민법」 제909조
제4항 및
「가사소송법」 제2조
제1항제2호나목 5)].
친권자가 지정된 후에도 자녀의 복리를 위해 필요한 경우에는 자녀의 4촌 이내의 친족의 청구에 따라 가정법원이 친권자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민법」 제909조
제6항 및
「가사소송법」 제2조
제1항제2호나목 5)].
재판상 이혼하는 경우
재판상 이혼을 하는 경우 가정법원은 직권으로 친권자를 정합니다(
「민법」 제909조
제5항).
친권자가 지정된 후에도 자녀의 복리를 위해 필요한 경우에는 자녀의 4촌 이내의 친족의 청구에 따라 가정법원이 친권자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민법」 제909조
제6항 및
「가사소송법」 제2조
제1항제2호나목 5)].
이혼 시 자녀에 대한 양육권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친권자 및 양육권자의 변경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양육자의 자녀인도청구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양육자가 아닌 부모의 자녀에 대한 면접교섭권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면접교섭의무의 이행 강제 방법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자녀에 대한 양육비 부담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양육비 지급의 이행 강제 방법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이혼 후 자녀의 성(姓)과 본(本) 변경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자녀의 성(姓)과 본(本)을 재혼한 배우자의 성과 본으로 바꾸는 방법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가정폭력의 개념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
배우자의 가정폭력에 대한 고소
열기
친권의 의의
열기
친권자의 지정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