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비 등 지원
특수교육비 지원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12세 이하 미취학 아동에 대한 보육료 지원
장애아 보육료를 지급받을 수 있는 아동은 다음과 같습니다(보건복지부, 『
2024년 보육사업안내』, 345면 참조).
장애인복지카드(등록증)를 소지한 12세 이하의 미취학 장애아동
취학연령 되었음에도 부득이하게 질병 등의 사유로 일반 초등학교 및 특수학교에 취학하지 못한 아동
※ 다만, 장애인등록이 되어 있거나 특수교육 대상자 진단·평가 결과 통지서를 제출해야 하며 담당자는 취학유예여부를 확인해야 함(특수교육 대상자 진단·평가 결과 통지서 제출자의 경우 8세까지 지원 가능)
부득이하게 교육받을 의무를 유예한 아동
√ 장애인복지카드를 소지한 아동: 6세 이상 12세까지의 아동
√ 특수교육대상자 진단·평가 결과 통지서를 제출한 아동: 6세 이상 8세까지의 아동
지원대상
|
지원내용
|
√ 장애인복지카드(등록증) 소지자 √ 예외적으로 장애소견이 있는 의사진단서 또는 특수교육대상자 진단・평가 결과 통지서 제출자 가능(장애등록 외국인 중 난민 및 특별기여자, 재외국민 포함하나 재외국민 출국자는 제외)
|
√ 장애아보육료: 인건비지원시설 58만 7천원, 인건비미지원시설 수납한도액 √ 장애아 방과후보육료: 12세 이하 등록장애아 또는 8세 이하 특수교육대상 취학아동 29만 8천원
|
다만, 장애아동이 정부지원을 받는 특수학교(초등학교 과정을 말함)를 이용할 경우에는 장애아 보육료 지원을 받을 수 없으나, 초등학교 취학 아동은 장애아 방과후 보육료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보건복지부, 『2024년 보육사업안내』, 345면 참조).
※ 보육료 신청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 콘텐츠 <
특수교육 및 보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