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지원인 지원

근로지원인이란?

지원 개요
구분
|
내용
|
지원대상자
|
다음의 사람을 제외하고, 담당업무를 수행하는 능력을 갖추었으나 장애로 인해 업무를 수행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는 중증장애인 근로자 ▪ 월 소정근로시간이 60시간 미만인 장애인 근로자 ▪ 최저임금 미만을 지급받는 장애인 근로자 중 최저임금 적용제외 인가를 받지 않은 사람 ▪ 고용관리비용 지원을 받고 있는 장애인 근로자
|
지원한도
|
주 40시간, 1일 최대 8시간 이내
|
지원조건
|
근로지원인 서비스를 제공받은 시간 동안 시간당 300원에 해당하는 본인부담금을 사업수행기관에 납부해야 함 ※ 다만, 1명의 근로지원인이 2명의 중증장애인을 동시에 지원하는 경우에는 중증장애인 1명당 시간당 180원, 3명의 중증장애인을 동시에 지원하는 경우에는 중증장애인 1명당 시간당 130원의 본인부담금을 납부해야 함
|
지원기간
|
1년 이내(서비스 재신청 가능)
|
지원예시
|
지체 및 뇌병변 장애인
|
▪ 업무수행과 관련된 컴퓨터 활용 등 부수적 지원 ▪ 핵심 업무 수행하는데 신체적으로 불가능하거나 장애로 인해 지나치게 많은 시간이 소모되는 물건을 들거나 이동 지원 ▪ 출장 및 업무를 위한 휠체어 등 이동 지원 ▪ 주된 업무와 관련된 전화를 받거나 손 등을 이용한 서류 정리 등
|
시각장애인
|
▪ 업무보고를 위한 프레젠테이션 등 기술적 지원 ▪ 서류 대독(代讀), 점역(點譯), 수기(手記) 등 업무와 관련한 지원 ▪ 인터넷·신문·전문서적 등 업무와 관련한 정보 검색 ▪ 직무상 강의, 교육 등 외부 스케줄과 관련된 지원 등
|
청각·언어장애인
|
▪ 비장애인 동료 또는 상관과의 대화 시 수화통역 지원 ▪ 직무상 연관된 고객관리 지원 ▪ 직무상 강의, 교육 등 외부 스케줄과 관련된 지원 ▪ 업무와 관련된 전화 받기, 대화 기록 등 지원 등
|

지원 신청 및 처리

근로지원인 서비스 신청서

임금이 최저임금액 이상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

지원 절차

지원 결정 취소

근로지원을 거짓이나 그 밖에 부정한 방법으로 결정 받은 경우

근로지원을 사업취지에 맞게 사용하지 않은 경우

본인부담금 납부를 거부하는 경우

근로지원인 서비스를 제공받는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사정변경으로 근로지원인 서비스가 필요하지 않게 된 경우

근로지원인이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결정 받은 경우에는 근로지원인 서비스 제공대상자 선정을 취소하고 선정취소일로부터 1년간 근로지원인 서비스 제공을 중단해야 합니다(「사업주 및 장애인 등에 대한 융자·지원규정」 제51조제2항 본문).
※ 다만, 그 부정한 방법의 정도, 동기 및 결과 등을 고려해 그 중단기간의 3분의 1까지 감경할 수 있습니다(「사업주 및 장애인 등에 대한 융자·지원규정」 제51조제2항 단서).